자영업자도 고용보험에 가입했다면 실업급여(구직급여)를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구직급여는 모두 동일하게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, 본인이 선택한 기준보수와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.
자영업자를 위한 실업급여 계산 방법과 함께 기준보수 등급, 월 보험료, 지급일수, 수급 기간 연기 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릴게요. 놓치지 마세요!
구직급여액 계산방법
자영업자 실업급여 계산의 핵심은 ‘기준보수의 60% × 지급일수’ 공식입니다.
여기서 기준보수는 고용보험에
가입할 때 본인이 선택한 등급을 의미합니다.
📌 기준보수 등급별 월보험료 안내
등급 |
기준보수 |
월 보험료 |
---|---|---|
1등급 |
1,820,000원 |
40,950원 |
2등급 |
2,080,000원 |
46,800원 |
3등급 |
2,340,000원 |
52,650원 |
4등급 |
2,600,000원 |
58,500원 |
5등급 |
2,860,000원 |
64,350원 |
6등급 |
3,120,000원 |
70,200원 |
7등급 |
3,380,000원 |
76,050원 |
지급일수
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최소 120일, 최대 210일까지 가능하며, 그 기준은 고용보험 가입 기간입니다.
📌 고용보험 가입 기간별 구직급여 지급일수
-
1년 이상 ~ 3년 미만: 120일
-
3년 이상 ~ 5년 미만: 150일
-
5년 이상 ~ 10년 미만: 180일
-
10년 이상: 210일
✅ 단, 이전에 구직급여를 받은 이력이 있다면, 그 이전 가입 기간은 제외됩니다.
예상 수령액
예시
-
기준보수: 2,600,000원(4등급)
-
구직급여 = 2,600,000 × 60% = 1,560,000원/월
-
가입 기간: 6년 → 지급일수 180일
👉 총 수령 가능 금액 = 1,560,000원 × 6개월 = 936만 원
이처럼
내 기준보수와 가입 기간만 알면 예상 수령액을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.
더 정확한 계산은
고용노동부 실업급여 계산기를 이용하세요.
실업급여 수급기간 연장 방법
바로 취업이 어렵다면 수급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.
✅ 연기 가능한 사유
-
임신 또는 출산
-
질병, 부상 등
-
천재지변 등 취업 불가 상황
📌 연기 방법
-
수급자격증, 증빙자료 준비
-
고용복지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제출
-
수급기간연기신고서 작성 후 접수
💡 단, 연기는 최대 4년 이내의 범위에서만 가능하니 반드시 기한을 확인하세요.
요약: 불가피한 사유가 있다면 수급기간을 연장하여 구직급여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.
자영업자 실업급여 외 혜택
고용센터의 지시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동했다면 다음과 같은 취업촉진수당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직업능력개발수당
-
훈련 참여 시 1일 7,530원 지급
✅ 광역구직활동비
-
타 지역 면접 시 교통비 및 숙박비 지원
✅ 이주비
-
취업 또는 훈련을 위해 이사할 경우 지급
요약: 자영업자도 다양한 취업 촉진 수당을 통해 실질적 구직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준비된 자영업자라면 실업급여로 재도약이 가능합니다
실업급여는 단순한 현금 지원이 아닌
재취업·재창업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입니다.
기준보수, 가입기간, 수급자격 기간을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하면,
폐업 후에도 충분한 회복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.